Operating System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Ubuntu] 서비스 관리 서비스 관리 기본 개념서비스(daemon) :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Ex)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init 시스템 : 시스템 부팅 시 서비스 및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시스템SysVinit (구형 방식)systemd (현대적 방식) systemd 및 systemctl 기본 명령어 대부분의 최신 리눅스 배포판(우분투, CentOS, RHEL 등)은 systemd를 사용서비스 관리는 systemctl로 수행해당 명령어는 이전에 SSH 설정하는 포스팅에서 사용한 적이 있음https://bestdevelop-lab.tistory.com/310 [Ubuntu] 네트워크 및 SSH 설정Ubuntu 네트워크 모드 선택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가상 머신이 .. [Ubuntu] 프로세스 관리 리눅스 프로세스 동작 원리 시스템이 부팅될 때 커널은 'init' 시스템을 실행하여 시스템 서비스들을 차례대로 시작시킴과거에는 '/etc/inittab'을 참고하여 'init'이 실행되었으나, 최신 배포판에서는 'systemd'가 이를 대신 함이 서비스들은 데몬 프로세스(백그라운드 실행)로 동작하여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시스템 작업을 수행 가능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를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라고 함커널은 이러한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 각 프로세스에 PID(Process ID)를 할당하며, 시스템에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init(systemd) 프로세스는 항상 PID 1을 가짐 리눅스 프로세스 명령어프로세스 출력 (ps)ps [옵션]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사용 작업.. [Ubuntu] 리눅스 권한 파일 및 디렉터리 권한리눅스는 여러 사용자가 들어와 사용하는 멀티유저 시스템이기 때문에 여러 사용자가 들어와 사용하다 보면, 서버에 올려진 비밀자료 열람과 변조,수정,삭제를 할 우려가 생김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리눅스 OS에는 특별한 기능이 있는데 바로 퍼미션(권한)이라는 기능윈도우 OS에도 퍼미션기능이 있긴 하지만 여러 사용자들이 들어오는 서버용이 아니기에 리눅스처럼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이 기능으로 사용자들은 자신한테 읽기 퍼미션이 부여된 파일만 읽을 수(Read) 있고, 쓰기 퍼미션이 부여된 파일만 쓰기와 수정(Write)이 가능하고, 실행 퍼미션이 부여된 파일만 실행(Execute)이 가능하며, 열람 권한뿐만 아니라 파일 소유자 개념도 지원즉, 소유자(owner), 그룹(group), 기타(oth.. [Ubuntu] 그룹 계정 관리 그룹 계정 관리사용자를 묶어 관리 가능하게 하는 매커니즘그룹을 통해 각 그룹에 보안설정, 접근설정, 권한 등을 일괄 적용 관리 가능모든 사용자는 UID와 GID 가짐 사용자 생성 시 별도로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으로 사용자 이름과 동일한 그룹을 생성하여 포함시킴그룹 계정 명령어그룹 출력( groups )# 특정 사용자나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표시groups # ubuntu adm cdrom sudo dip plugdev users lpadmin wheel그룹 생성 (groupadd)groupadd test-group# groupadd [옵션] [그룹명]옵션설명-f, --force 그룹을 생성할때 이미 생성되어 있더라도 성공으로 간주 -r, --system시스템 그룹 생성-g, --gi.. [Ubuntu] 사용자 계정 관리 계정 추가 명령어사용자 추가 (useradd / adduser) useradd는 옵션을 직접 명시해야 하며, adduser는 인터랙티브 입력을 통해 자동으로 처리'useradd 계정명' 명령어만 입력할 경우 홈 디렉토리조차 생성되지 않음useradd testuser추가된 사용자 확인# passwd 파일 맨끝 라인만 출력하기 (맨끝이 최근에 추가된 유저 정보)tail -1 /etc/passwd# [사용자명]:[비밀번호]:[uid]:[gid]:[사용자 계정 설명]:[홈 디렉터리]:[셸]'/etc/passwd' 파일에는 콜론(:) 으로 구분되며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사용자명비밀번호uidgid사용자 계정 설명홈 디렉터리셸testuserx10011002 testuser/bin/sh사용자 추가 옵션useradd .. [Ubuntu] 리눅스 계정 종류, Root 계정 및 시스템 계정 관리 리눅스 계정 종류루트 계정 : 모든 권한을 가진 관리자 계정시스템 계정 : 리눅스 설치 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계정사용자 계정 : 실제 리눅스 사용자를 위한 계정리눅스에서는 사용자를 관리자(root)와 일반 사용자로 구분각각의 계정은 번호로 부여하는 UID(User Identity)로 관리UID가 0번인 사용자는 슈퍼 유저로 인식하여 관리자 권한을 갖지만 완벽한 root 계정이 되는 것은 아님일반 사용자 계정의 UID 범위는 /etc/login.defs 파일에서 UID_MIN과 UID_MAX 값을 정의하여 일반 사용자 계정의 UID 범위를 설정시스템 계정의 UID 범위는 /etc/passwd 파일의 기본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root (Super User) 계정UID 값이 0으로 지정된 관리자 계정다.. [Ubuntu] vi, nano, gedit 편집기 vi 편집기vi 편집기는 이전 포스팅에서 작성한 내용 참조 UNIX 및 Linux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강력한 텍스트 에디터 기본적으로 명령 모드와 입력 모드를 사용하여 작업nano 편집기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운 텍스트 편집기로, 명령어가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직관적명령어 앞의 ^는 Ctrl을 의미nano 사용법파일 열기 및 생성nano 파일명저장 및 종료Ctrl + O : 저장 (파일명 입력 후 Enter)Ctrl + X : 종료Ctrl + X 후 변경 내용 저장 여부를 묻는 메세지가 나오면 Y 입력 후 Enter편집 관련Ctrl + K : 한 줄 삭제Ctrl + U : 붙여넣기Ctrl + W : 검색Ctrl + G : 도움말 보기마우스 위, 아래 방향키 또는 Page Up, Page Dow.. [Ubuntu] Linux vi 편집기 vi 편집기텍스트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터미널 기반의 편집기로 Linux에서 파일을 편집할 때 주로 사용거의 모든 리눅스 배포판에 vi 편집기가 기본적으로 포함요즘은 vi를 실행하면 대부분 vim(Vi IMproved)으로 연결되는데 vim은 vi의 향상된 버전 vi가 기본 포함된 경우대부분의 전통적인 리눅스 배포판(예: Ubuntu, CentOS, Debian, Red Hat 등)에는 기본적으로 vi가 설치심지어 최소 설치(minimal installation) 환경에서도 포함되는 경우가 많음vi가 없는 경우일부 경량화된 배포판(예: Alpine Linux)이나 최소 설치 환경에서는 vi가 빠져 있을 수 있음대신 vim-tiny 같은 더 가벼운 에디터가 기본 제공될 수 있음vi가 없을 때 확인하는 방..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