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perating System/Linux

[Window/설치 및 세팅] VirtualBox 및 Ubuntu 설치 및 초기 설정

728x90
VirtualBox 다운로드

https://www.virtualbox.org/

 

Oracle VirtualBox

Powerful open source virtualization For personal and enterprise use VirtualBox is a general-purpose full virtualization software for x86_64 hardware (with version 7.1 additionally for macOS/Arm), targeted at laptop, desktop, server and embedded use.

www.virtualbox.org


Uubunto ISO 파일 다운로드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ubuntu.com

  • Ubuntu 24.04.1 LTS에서 24.04는 24년 4월에 배포된 버전임을 의미
  • LTS는 장기지원 버전을 의미
  • LTS 버전은 2년마다 새로운 버전을 배포하고 배포일로부터 5년까지 업데이트를 지원
  • 정규버전은 6개월마다 배포되며 배포일로부터 9개월동안 업데이트를 지원


VirtualBox 설치
  • ISO파일은 다운 받는데 오래 걸리기 때문에 금방 다운로드 된 VirtualBox 먼저 설치

  • 설치 경로 수정 시 주의 사항
    • C드라이브 용량이 적어 D드라이브에 설치하기 위해 기본 경로인 C:\Program Files\Oracle\VirtualBox를 따라 D:\Program Files\Oracle\VirtualBox로 하였더니 Invalid installation directory 라는 에러 발생
    • VirtualBox는 간단한 경로를 선호한다고 하여 위 사진 경로처럼 D:\VirtualBox로 하니 정상적으로 넘어감

  • 대충 설치할 때 네트워크가 리셋 되고 일시적으로 연결이 끊긴다는 내용
  • 인터넷이 끊기면 안되는 상황일 때 주의해야할 것

  • Python Core와 win32api가 필요하지만, 지금 설치를 강행하면 나중에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내용
  • Python 바인딩 관련 기능에 대한 안내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무시해도 된다고 함
  • 가상 머신 설치와 실행만 목적이라면 Yes로 진행
  • 이후 쭉 Next하고 Install까지 진행

Ubuntu 설치
  • VirtualBox에서 새로 만들기 클릭

  • 이름 및 ISO 설정
    • 이름에 ubuntu라는 글자가 들어가면 자동으로 종류, Subtype, 버전들이 설정이 됨
    • 하지만, ISO 이미지를 선택해도 알아서 셋팅되기 때문에 크게 중요하진 않은 것 같음

  • 사용자 이름, 암호 및 호스트 변경

  • 구축할 서버의 메모리 크기와 CPU를 설정하는 부분
    • 하드웨어 기본 메모리(RAM) 기본값 : 2048MB
    • 가상 하드 디스크 크기 기본값 : 25GB
    • ※ 다른 블로그에서 잘 모르면 기본값으로 진행하고 추후 언제든 변경 가능하다고 하였으나, 이후 OS 설정을 모두 끝마치는 데까지는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Install을 누르고 나면 몇분이 채 가지 않아 하단의 진행 바가 멈추게 됨
    • 처음 해보는 것이기 때문에 기다리면 진행이 될 거라고 생각했지만, 몇십분이 지나도 설치의 진전이 없는데 이는 용량이 적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 같음
    • ChatGPT에 의하면 RAM의 기본값은 2GB이지만 4GB(4096MB)이상을 권장한다고 함
      → 약 4~5차례 기본값으로 진행해도 계속 멈췄는데 용량을 늘려주니 제대로 설치가 완료되었음
    • 혹시 모르니 가상 하드 디스크의 크기도 넉넉히 100GB 설정
      → 이는 동적 할당 옵션으로 가상 디스크의 최대 크기만 지정할 뿐, 실제로는 사용한 만큼만 물리적 저장 공간을 차지

가상머신 환경 세팅하기(설정)

  • 네트워크 어댑터 브릿지
    • Oracle VirtualBox에서의 브리지 어댑터(Bridged Adapter) 네트워크 모드는 가상 머신을 물리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을 의미
    • 이 설정을 사용하면 가상 머신이 마치 물리 네트워크의 다른 일반 컴퓨터처럼 동작하여, 가상 머신에 고유한 IP 주소가 할당
    • 이 IP 주소는 가상 머신이 속한 물리 네트워크의 DHCP 서버나 정적 IP 설정을 통해 제공될 수 있음
    • 네트워크상에서 가상 머신을 마치 실제 물리 장치처럼 보이게 하고 싶기 때문에 이 옵션을 선택

  • 설정 완료

가상머신 실행
  • 좌측에 원하는 가상 머신을 더블 클릭 또는 상단의 시작 버튼으로실행 가능
  • 최초 시작하면 CMD화면 같은 것에서 설치가 진행되고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옴

  • 네트워크 연결 선택
    • 추가 소프트웨어 설치나 패키지 업데이트 없이 배포판 상태 그대로 설치할 것이라면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기를 선택
    • 일반 사용자의 경우 나중에 시간과 수고를 들여 패키지를 추가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피하려면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 권장

  • 대화형 설치(Interactive Installation)와 자동화 설치(Automated Insatallation)
    • 대화형 설치는 사용자가 우분투 24.04 설치 도우미와 상호작용하여 설치에 필요한 각종 설정 정보를 우분투 설치 프로그램에 제공하여 설치를 진행하는 방식
    • 자동화 설치고급 사용자가 이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는 우분투 설치에 필요한 각종 설정 및 설치 패키지 정보를 autoinstall.yaml 파일에 작성하고, 우분투 설치 도우미 프로그램이 해당 파일을 읽어 거기에 담긴 정보대로 우분투를 자동으로 설치하게 하는 방식

  • Default selection과 Extended selection
    • 설치할 패키지 범위를 선택
    • Default selection은 우분투 운용에 필요한 필수 패키지, 웹브라우저 그리고 기본 유틸들만 설치
    • Extended selectionDefault selection에 포함된 패키지들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친화적인 오피스 도구들과 그외 각종 추가 유틸리티들이 함께 설치
    • 일반 사용자라면 Extended selection을 권장

  • 디스크 파티셔닝 유형 선택 화면
    • 리눅스 초심자라면 디스크 지우고  Ubuntu 설치를 선택하고 고급 기능은 선택 안함 상태로 놔둔 채 다음 단계 진행
    • 그러면 우분투가 알아서 디스크 내 기존 내용을 모두 삭제하고 가장 대중적인 설정값으로 파티셔닝한 다음 우분투 OS 시스템을 설치

  • 계정 설정
    • 이름 : 우분투에 로그인 했을 때 표시될 실명 내지는 닉네임
    • 컴퓨터 이름 :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를 구별할 호스트명
    • 사용자 이름 : 우분투에 로그인할 때 사용되는 식별자(ID)
    • 암호 : 해당 사용자 이름(로그인 아이디)가 우분투에 로그인할 때 사용자 인증에 사용하는 접속 암호
    • 이름 입력 시 컴퓨터 이름, 사용자 이름도 알아서 작성 → 임의로 변경 가능

  • OS를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몇십분(?) 정도 걸림


 

Error : 가상 머신 세션을 열 수 없습니다

  • 해당 에러를 검색해보았을 때 가상 머신 관리자 상단에서 '머신 - 저장된 상태 삭제'를 클릭하면 해결된다고 함
  • 하지만, 나는 해당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있었음

  • 처음에는 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위의 가상머신 실행 후 OS 설정 하는 부분(?)을 쭉 진행하고 Install을 했을 때 처음에는 진행이 잘 되다가 어느 순간 하단의 진행바가 멈춘 상태로 몇십분이 지속 됨
  • 이에 대해서 정말 많은 구글링 결과 'Fasoo DRM' 이라는 쓰레기 같은 프로그램 때문에 발생한 문제라고 함

https://bestdevelop-lab.tistory.com/308

 

[삭제] 최악의 프로그램 Fasoo DRM

Fasoo DRM이란 뭘까?구글링을 해본 결과 파수닷컴이라는 곳에서 개발한 기업형 DRM 솔루션이라고 함보안이 중요한 각종 기관에서 다루는 문서의 자료 유출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문서보안 프로그

bestdevelop-lab.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