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perating System/Linux

[Ubuntu] Linux 파일 시스템 구조

728x90
Linux 파일 시스템 구조
  • 트리구조
  • FSSTND 준수하는 것 권장
    • linux File System STaNDard: 리눅스 파일 시스템 표준안
  • 보통 FHS(Filesystem Hierarchy Standard) 표준 파일 시스템 계층 사용
    • FHS가 리눅스의 주 디렉토리 정의
  • 리눅스에서 디렉토리 간 구분 /(슬래시) 윈도우에서 폴더간 구분 \(역슬래시)로 함
  • 리눅스 디렉토리(directory) = 윈도우 폴더(folder)

/
  • 리눅스 파일 체제의 최상위 디렉토리
  • 모든 디렉토리들의 시작점으로 일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음
  • 윈도우의 C:\와 같은 개념이지만 리눅스는 모든 디렉토리가 이 하나의 루트 아래에 통합
  • 다른 하드 디스크나 파티션도 이 루트 디렉토리 아래의 특정 위치에 마운트 됨
bin
  • binaryse의 약어로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binary)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
  •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기본적인 명령어들이 모여있음
  •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기본 명령어 (ls, cp, mv 등)
boot
  • 부팅에 핵심적인 커널 이미지와 부팅 정보 파일을 담고 있는 디렉토리
  • /etc/lilo.conf 에서 지정한 커널 부팅 이미지 파일이 들어 있으면 부팅 시 매우 중요한 역할
dev
  • 장치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
  •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정보를 확인 가능
etc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 네트워크 관련 설정 파일, 사용자 정보 및 암호정보, 파일 시스템 정보, 보안 파일 등등
home
  • 리눅스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사용자 계정명과 동일)가 만들어지는 디렉토리
media
  • CD-ROM이나 USB같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디렉토리
mnt
  • 파일 시스템을 임시로 연결하는 디렉토리
root
  • 시스템 관리자의 홈 디렉토리
  • 일반 사용자 접근 불가
sbin
  • bin 디렉토리와 유사하지만 오직 루트유저만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는 디렉토리
  • 시스템 관리용 명령어 (fdisk, fsck, ifconfig 등)
sys
  • 리눅스 커널관련 정보가 있는 디렉토리
tmp
  • 시스템 사용 중에 발생한 임시데이터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 부팅 시 초기화
usr
  • 기본 실행파일과 라이브러리 파일, 헤더 파일등의 파일이 저장되어있는 디렉토리
  • 대부분의 응용프로그램과 파일이 저장
    • /usr/bin : 일반 사용자용 응용프로그램
    • /usr/sbin : 시스템 관리자용 응용프로그램
    • /usr/local : 사용자가 컴파일한 프로그램들이 주로 설치되는 위치
var
  • 시스템 운영 중에 발생한 데이터와 로그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 /var/log : 시스템 로그 파일들
    • /var/spool : 프린터 스풀이나 메일 큐 등
    • /var/www : 웹 서버의 기본 문서 위치

루트 디렉토리 & 홈 디렉토리

루트 디렉토리
  • 리눅스 파일 체제의 최상위 디렉토리로 모든 디렉토리들의 시작점
  • 절대경로로 경로를 표기할 때 최상위 루트(/)부터 시작
홈 디렉토리
  • 최상위 루트 디렉토리 하위에 있는 home 디렉토리가 아니라 그 아래에 있는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를 의미
    • 루트 디렉토리 하위의 home 디렉토리여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모여있는 디렉토리
  • 계정명으로 설정된 폴더를 말하며 보통 리눅스에 처음 로그인하면 접속되는 위치 의미
  • 계정명(사용자 아이디)는 5글자까지만 나타냄
루트 디렉토리(/)에서 하위 디렉토리 출력

루트 디렉토리 하위의 home 디렉토리(/home)에서 하위 디렉토리 출력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서 하위 디렉토리 출력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방법
  • cd ~ : 해당 명령어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이동하는 명령어
    • /home에서 ls -l을 하였을 때 ubuntu1 ubuntu2 ubuntu3 ubuntu4이 존재한다고 가정
    • 현재 로그인한 계정이 ubuntu1이라면 cd ~를 입력하였을 때 ubuntu1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
    • 만약 ubuntu4로 로그인 했을 경우 cd ~를 입력하면 ubuntu4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게 됨


참고 자료

https://dana-study-log.tistory.com/entry/Linux-%EB%A6%AC%EB%88%85%EC%8A%A4-%ED%8C%8C%EC%9D%BC-%EC%8B%9C%EC%8A%A4%ED%85%9C-%EA%B5%AC%EC%A1%B0-%EB%A3%A8%ED%8A%B8-%EB%94%94%EB%A0%89%ED%86%A0%EB%A6%AC-%ED%99%88-%EB%94%94%EB%A0%89%ED%86%A0%EB%A6%AC

 

[Linux]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 / 루트 디렉토리, 홈 디렉토리

파일 시스템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운영체제가 파일,디렉토리를 효율적/구조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트리구조 시스템을 총칭"_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즉, 컴퓨터에서 자료들을 쉽게 발견하고

dana-study-log.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