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cense

[매경테스트] 미시경제 오답노트

728x90

Q. 독점기업과 완전경쟁기업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 아닌 것?
Answer. 독점 기업과 완전 경쟁 기업 모두 이윤 극대화 생산량한계 수입과 한계 비용이 일치되는 수준
→ 어느 기업이든 이윤 극대화 생산량은 한계 수입(완전 경쟁의 경우 시장 가격)과 한계 비용의 일치에 의해 결정되는 데 독점 기업의 시장 가격은 한계 비용보다 높지만, 완전 경쟁 시장 가격은 한계 비용과 같음

독점 시업 : 시장 가격 > 한계 비용 / 완전 경쟁 시장 : 시장 가격 = 한계 비용
→ 따라서 독점 시장의 가격이 더 높게 책정

 

Q.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 식료품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시금치 수요의 가격 탄력성보다 높음 => 시금치 탄력성 < 식료품 탄력성
    → 시금치 수요의 가격 탄력성 > 식료품 수요의 가격 탄력성 (O)
  • 어떤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반드시 그 재화의 수요량은 감소
    → 기펜재의 경우 양수가 될 수도 있음

Q. A의 석유에 대한 수요 가격탄력성은 0.2, 석유 가격이 2000원에서 3000원으로 인상

A의 석유 수요량은 100L에서 몇L로 감소되는가?

Answer. 90L

  • 가격 탄력성 = 수요량 변화율 / 가격 변화율
  • 가격 변화율 = (새로운 가격 - 초기 가격) / 초기 가격
    • (3000 - 2000) / 2000 = 1/2 = 0.5(50%)
  • 수요량 변화율 = 가격 탄력성 * 가격 변화율
    • 0.2 * 0.5 = 0.1 (10%)
  • 수요량 변화 = 초기 수요량 * 수요량 변화율
    • 100 * 0.1 = 10L
  • 새로운 수요량 = 기존 수요량 - 수요량 변화
    • 100 - 10 = 90L

Q. 완전경쟁시장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것은?

  • 시장 수요 곡선은 수평이다 (X)
    → 개별기업이 직면하는 수요 곡선 : 수평선
    → 시장 수요 곡선 : 우하향
  • 완전경쟁기업의 단기공급곡선은 기업의 평균비용을 상회하는 기업의 한계비용곡선이다 (X)
    → 단기 공급 곡선은 기업의 평균가변비용을 상회하는 기업의 한계 비용 곡선

Q. 규모의 경제가 나타나는 사례

Answer. 고정비용이 높고 가변비용이 낮은 경우

 

Q. 독점기업에 관한 다음 설명 중에서 옳은 것은?

Answer. 총수입을 극대화하려면 독점기업은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인 점에서 생산

→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1 → E = 1 → 완전 비탄력적

 


엥겔 계수
  • 가계의 생계비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
  • 생계비 = 가처분소득 - 저축
  • 엥겔계수 = 음식비 / 생계비
죄수의 딜레마
  • 협조를 통해 현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통해 판별
  • 한정된 자리를 놓고 경쟁하여 협조할 여지가 없으면 죄수의 딜레마가 아님

 

재화의 분류
  경합성 비경합성
배제성 사적재 클럽재
비배제성 공유재(Common Goods) 공공재(Public Goods)
  • 사적재 : 옷, 커피, 신발
  • 공유 : 깨끗한 식수, 어획 자원 → 공유지의 비극
  • 클럽재 : 영화관, 케이블 TV, 유료 Wifi
  • 공공재 : 등대의 불빛, 일기 예보, 무료 Wifi → 무임승차 문제
독점적 경쟁 시장
  •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움
  • 비가격경쟁(광고 경쟁 등)으로 인해 재화의 생산비가 높아질 수 있음
  • 생산하는 재화가 이질적일수록 초과 설비 규모가 커짐
  • 생산하는 재화가 동질적일수록 완전 경쟁에 가까워져 수요가 탄력적
  • 기술 혁신 비선호
  • 충성 고객층이 형성되어 단기적으로는 초과 이윤을 누리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정상 이윤만 누릴 수 있음
독점기업
  • 가격결정자이므로 수요곡선 상에서 자기가 원하는 양이나 가격을 선택
  • 가격이 한계비용 곡선보다 큰 수준에서 생산이 결정 (가격 > 한계 비용 곡선)
    → 가격 = 한계 비용 곡선과 무관하게 생산
    → 즉, 가격 결정에서 공급곡선은 고려되지 않음
복점(과점) 시장
  • 소수의 기업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한 상황
  • 서로의 행동(가격, 생산량)을 의식하며 경쟁하거나 담합 가능성 존재
    Ex) 자동차, 스마트폰
베르트랑 복점
  • 가격 경쟁하는 복점 모델
  • 소비자는 더 낮은 가격을 선택하여 두 기업은 상대방보다 더 저렴한 가격을 책정
  • 이 경쟁은 가격이 한계 비용까지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옴
  • 기업들이 가격 경쟁을 통해 거의 이윤을 얻지 못함
    → 가격이 매우 낮아짐
쿠르노 복점
  • 생산량을 경쟁하는 복점 모델
  • 서로의 생산량을 고려하여 자신의 생산량을 결정
  • 기업들이 생산량 경쟁을 통해 완전 경쟁보다는 높은 가격에 균형을 형성하지만, 독점 보다는 이윤이 낮음
    → 생산량과 가격이 균형을 이룸
가격 차별
  • 모든 가격 차별은 생산자 잉여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소비자 잉여는 감소
  • 독점 기업이 완전 가격 차별(1급)을 시행하면 시장 균형 판매량은 단일 가격 하의 독점에 비해 증가하여 수요 곡선과 한계 비용 곡선이 만나는 점까지 생산량 증가
  • 완전 가격 차별(1급)은 소비자 잉여가 모두 생산자 잉여로 이전되는 분배의 문제를 일으키지만 동시에 독점으로 인해 발생한 사중 손실을 제거하여 사회 전체의 잉여가 증가하여 자원 배분의 효율성 증가
탄력성
  • 탄력적
    • 가격이 조금만 변해도 수요량 또는 공급량이 크게 변함 (E > 1)
    • 그래프 : 완만한게 기울어짐
    • Ex) 사치품, 대체재가 많은 상품
  • 단위탄력적
    • 가격 변화와 수요량 또는 공급량 변화의 비율이 같아 총 수익은 변하지 않음 (E = 1)
    • 그래프 : 1:1 비율로 변화
  • 비탄력적
    • 가격이 변해도 수요량 또는 공급량이 거의 변하지 않는 경우 (E < 1)
    • 그래프 : 가파르게 기울어짐
    • Ex) 필수품, 대체제가 적은 상품
  • 완전비탄력적
    • 가격 변화가 수요량 또는 공급량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 ( E = 0)
    • 그래프 : 수직선
    • Ex) 생명 유지 필수품(의약품 등)
총 효용
  • 어떤 상품을 소비하면서 얻는 전체 만족감
  • 물건을 계속 소비할수록 총효용은 점점 커짐
    첫 번째 사과 → 만족도 10 (총효용 : 10)
    두 번째 사과 → 만족도 8 (총효용 : 18)
    세 번째 사과 → 만족도 5 (총효용 : 23)
  • 그래프 : 꾸준히 증가하다가 만족의 한계에 도달하면 멈춤

 

한계 효용
  • 추가로 소비한 1개의 상품에서 얻는 추가적인 만족감
    → 새롭게 소비한 1개가 얼마나 만족스러웠는지 측정
  • 단, 추가 소비할수록 만족감(한계 효용)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음 (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
    첫 번째 사과 → 만족도 10 (한계효용 : 10)
    두 번째 사과 → 만족도 8 (한계효용 : 8)
    세 번째 사과 → 만족도 5 (한계효용 : 5)
  • 그래프 : 처음엔 크다가 점점 줄어 나중에는 0 또는 음수가 될 수 있음
독점 기업의 이윤 극대화 공식
  • 가격 탄력성 = 가격 / 한계 비용
  • Ex) 가격 탄력성 2, 가격 100일 경우 한계 비용은 ?
    → 2 = 100 / 한계 비용
    한계 비용 = 50
분위분배율
  • 값이 클수록 소득분배가 균등 (0 ~ 2)
지니 계수
  • 소득 분포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 경제적 불평등을 측정하는데 사용
  • 0 ~ 1의 값으로 나타내며 값이 클수록 불평등이 심함
    0 : 완전 평등 / 1 : 완전 불평등
시장 실패 요인
  • 불완전 경쟁 시장
  • 규모의 경제
  • 외부효과
  • 공공재
  • 정보의비대칭성
외부 효과
  • 소비의 긍정적 외부 효과 : 사적 한계 편익 < 사회적 한계 편익 → 과소 소비 (독감)
  • 소비의 부정적 외부 효과 : 사적 한계 편익 > 사회적 한계 편익 → 과다 소비 (흡연)
  • 생산의 긍정적 외부 효과 : 사적 한계 비용 > 사회적 한계 비용 → 과소 생산 (연구개발, 양봉업자와 과수원)
  • 생산의 부정적 외부 효과 : 사적 한계 비용 < 사회적 한계 비용 → 과다 생산 (공장 매연, 오수 배출)
경제적 지대
  • 어떤 생산 요소가 지닌 고유의 특성이나 희소성 때문에 발생하는 초과소득을 의미
    전용 수입(최소한의 이익)을 초과해 얻은 소득
    Ex) 회사원으로 일할 경우 연봉이 3,000만원이라면 축구 선수로 활동하기 위해 최소 3,000만원을 받아야 함
    이 때 3,000만원이 전용 수입이고 축구팀에서 10억을 제안한다면 9.7억이 경제적 지대
  • 이론적으로 경제적 지대는 공급자 잉여와 일치
  • 정부 규제 완화로 감소가 가능
  • 의사, 변호사 등 면허제도로 인해 공급이 제한적인 직종에서는 지대추구행위가 발생
  • 재화의 공급이 완전탄력적이면 모든 소득이 전용 수입이므로 경제적 지대가 발생하지 않음

  • 한계 수입 : 완전 경쟁의 경우 시장 가격
  • 한계 비용 : 추가로 한 단위의 재화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추가 비용을 의미
    즉, 생산량을 1단위 증가시킬 때 드는 비용이 얼마나 더 드는지를 나타냄
  • 기펜재 : 가격이 상승할 떄 오히려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 (열등재에 속함)
    Ex) 쌀, 빵 등 기본 식량
  • 피구세 시장에서 발생하는 외부 효과(Externality)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부과하는 세금
    Ex) 한 공장이 오염을 발생시켜 주변 지역 사회에 1톤당 100달러의 피해를 준다면, 정부는 1톤당 100달러의 세금을 부과
  • 파레토 개선 : 누군가의 이익을 증가시키면서도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주지 않는 변화로 사회적으로 효율성을 높이는 과정의 한 단계
  • 구성의 모순 : 전체에 적용될 수 없는 부분의 속성을 전체에도 적용하려는 오류
    Ex) 농구 경기장에서 앞 줄에 앉은 사람이 더 잘 관람하려고 일어나면 뒷 줄에 있는 사람들 또한 일어나게 되어 결국 관람객 모두 관람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