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cense

[매경테스트] 국제경제 오답노트

728x90

Q. 구매력평가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Answer. 국가 간 자본 이동에 대한 제약이 있는 경우 성립하지 않는다
→ 구매력 평가설은 국가 간 자본 이동은 관계 없음

 

Q. 자국통화의 가치가 평가절하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J-곡선 효과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

  • 초기에는 경상 수지가 악화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경상 수지가 개선되는 것
  • 가격 변동과 수량 변동 사이에는 시차가 있음을 보여줌

Q. 다음 중 구매력평가설(Purchasing Power Parity)에 대한 올바르지 않은 설명은?
Answer. 이자율 차이를 상쇄하는 방향으로 환율이 변동

 

Q. 현재 원달러 현물환율은 '1달러=1,000원'이며, 국내 금리는 1.5% 그리고 미국 금리는 2.0%다. 우리나라와 미국 사이에 이자율평가가 성립할 때 1년 후 원달러 현물환율에 대한 가장 합리적인 예측은?
Answer. 995원
→ 국내 금리 1.5 - 미국 금리 2.0 = -0.5%
현재 원달러 환율보다 -0.5%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 합리적

 

Q. 환율과 주가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
Answer. 유량모형에 근거한 포트폴리오 접근법은 단기에 물가가 경직적이라는 가정을 도입한다.
→ 유량 모형은 물가가 단기에 경직적이라고 가정
→ 포트폴리오 접근법은 자본 이동과 투자 포트폴리오의 조정을 강조하므로 물가 경직성을 가정하지 않음


 

피셔 효과
  • 명목 금리, 실질 금리, 기대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념
  • 명목 금리 = 실질 금리 + 기대 인플레이션
    • 명목 금리 : 우리가 은행이나 시장에서 실제로 보는 금리
    • 실질 금리 :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을 제외한 금리로, 돈의 실제 구매력을 나타냄
    • 기대 인플레이션 : 사람들이 앞으로 예상하는 물가 상승률
  • 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기대 인플레이션)되면, 투자자나 대출자들은 돈의 가치가 줄어드는 것을 고려해 더 높은 명목 금리를 요구
    → 따라서 기대 인플레이션이 올라가면 명목 금리도 상승
    • 실질 금리가 2%이고, 기대 인플레이션이 3%라면
      → 명목 금리 = 2% + 3% = 5%
    •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이 더 심해져 기대 인플레이션이 5%로 증가하면
      → 명목 금리 = 2% + 5% = 7%
  • 특히 장기적으로는 실질 금리는 인플레이션과 관계없이 일정하고, 명목 금리는 기대 인플레이션에 따라 변한다고 봄

 


용어 정리
  • 상계관세 : 수출국이 수출 산업에 장려금이나 보조급을 지급할 때 수입국이 이에 의한 경쟁력을 상쇄 시키기 위해 부과하는 누진관세로 수입 가격이 현저히 낮아서 국내 산업에 피해를 입히거나 입힐 가능성이 클 때 부과하는 관세
  • 보복관세 : 상대국이 자국 수출품, 선박, 항공기에 대해 부당한 차별적 관세나 대우를 취하는 경우와 자국이나 자국 산업에 대해 불이익이 되는 조치를 취했을 때 상대국으로부터의 수입 상품에 부과하는 고율의 관세
  • 반덤핑과세 : 외국 물품이 정상 가격 이하로 덤핑 수입되면 국내 산업에 실질적 피해 예상
  • 세이프가드 : 외국 물품 수입이 급격히 늘어 국내 산업의 실질적 피해 예상
  • 리딩(Leading) : 자산 또는 부채를 당초 약정일보다 앞당겨 수취 또는 지불하는 것
  • 래깅(Lagging) : 자산 또는 부채를 당초 약정일보다 늦게 수취 또는 지불하는 것
  • 통화 스왑 : 외환이 부족할 경우 국가 간 자금을 빌려주는 계약 비상시 안정적인 외환조달 역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