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cense

[매경테스트] 거시경제

728x90

https://youtube.com/watch?v=t27_6G4hVSY&list=PLnQDLXce-FuZCWCVgZYMSkzJ72g0nEddD&index=6

GDP
  • 일정 기간(1년)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시장 가치의 합
  • GDP 포함
    • 2014년도에 생산된 제품 → 2014년도 GDP에 포함
    • 중고차 불포함 → 중고차를 판매한 중개인 수수료 GDP 포함
  • GDP 불포함
    • 우리나라에서 외국인이 생산 → GDP 불포함
    • 우리나라 사람이 외국가서 생산 → GDP 불포함
    • 최종 생산물 → 중간제 불포함
    • 시장 가치의 합 →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은 것 불포함
    • 3년전 아파트 매수 → GDP 불포함
    • 주부의 가사 → GDP 불포함
    • 도박, 마약, 과외, 용돈 수익 발생 → 지하경제(세금을 내지 않고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경제) GDP 불포함

 

GMP
  • 국민 총 생산 →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고 GDP를 기준
  • 우리나라 사람이기만 하면 지역 상관 없이 포함
    • 류현진이 미국에서 선수 생활 → GMP 포함

삼면 등가의 법칙
  • 총생산 = 총지출 = 총소득
  • 가계 → 생산 요소(노동, 자본) 제공 → 기업
  • 가계 ← 생산 요소를 가지고 생산을 하고, 소득을 제공 ← 기업
  • 가계는 벌어들인 소득을 가지고 기업이 만든 물건을 구매(지출)

경기 안정화 정책
  • 경기가 너무 과열되지 않게 또는 너무 침체되지 않게 만드는 것
  • 경기 변동의 진폭을 작게함으로써 국민 경제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한 일련의 정부정책
  • 자동 경제 안정화 정책 : 누진세, 실업 급여
  • 소득 ↑ = 세금(누진세)  ↑ → 경기 과열 진정
  • 소득 ↓ = 세금(누진세) ↓ → 경기 진작
  • 실업 급여 ↑ = 소비 ↑ → 경기 진작

 

재정 정책
  • 세입과 세출을 잘 조정해서 정책을 펼치는 것
    • 세입 : 정부가 벌어들이는 돈
    • 세출 : 정부가 쓰는 돈
  • 확대 재정 정책 (적자 재정 정책)
  • 세입 < 세출
  • 확대 재정 정책 실행 = 경기가 침체 되었을 때
    1. 정부 지출 증가 (많이 씀)
    2. 조세 감소(적게 걷음)

 

  • 긴축 재정 정책 (흑자 재정 정책)
  • 세입 > 세출
  • 긴축 재정 정책 실행 = 경기가 과열 되었을 때
    1. 정부 지출 감소(적게 씀)
    2. 세금 증가(많이 걷음)

 

금융 정책
  • 통화량을 조절하여 경제를 안정화 시키는 정책
  • 확대 금융 정책(경제 침체 시) : 통화량 증가(돈이 많아짐)  → 금리 하락  → 투자 증가  → 소비 증가  → 경제 ↑
  • 긴축 금융 정책(경제 과열 시) : 통화량 감소(돈이 적어짐)  → 금리 상승  → 투자 감소  → 소비 감소  → 경제 ↓

 

공개시장 조작 정책
  • 공개시장 = 채권 시장
  • 경기 침체 : 국공채 매입  → 통화량 증가 → 금리 하락  → 투자 상승  → 소비 증가  → 경제 ↑
    • 통화량 증가 : 정부가 민간에게 국공채(채권) 매입 → 매입하였으니 민간에게 돈을 지급 → 민간이 지닌 통화량 증가
  • 경기 과열 : 국공채 매각  → 통화량 감소 → 금리 증가  → 투자 감소  → 소비 감소  → 경제 ↓

 

재할인율 정책
  • 한국은행과 시중은행간의 자금 거래시 적용되는 금리
  • 경기 침체 : 재할인율 인하 → 본원 통화 증가 → 통화량 증가 → ....
    • 재할인율 인하 : 시중은행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빌릴 때 적용되는 금리 ↓ → 금리가 줄어들었으니 더 많이 빌림
    • 본원 통화 : 한국 은행으로부터 시중으로 빠져 나온 통화
  • 경기 과열 : 재할인율 증가 → 본원 통화 감소 → 통화량 감소 → ...

 

지급준비율 정책
  • 예금이 들어오게 되면 예금자가 돈을 찾아갈 때 지급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비율
    • Ex) 지급 준비율 10%, 100만원 예금 시 10만원은 은행 내에 가지고 있어야 함(지급 준비를 위해)
      100만원 중 90만원 대출, 10만원은 지급준비율을 위해 보류 → 90만원이 시중으로 빠져 나감
    • 지급 준비율 5%, 100만원 중 95만원 대출통화량이 5만원이 늘어남
  • 경기 침체 : 지급 준비율 인하 → 통화량 증가 → 금리 하락 → ... = 확장 통화 정책 or 확장 국유 정책
  • 경기 과열 : 지급 준비율 인상 = 긴축 금융 정책 or 긴축 통화 정책

인플레이션
  • 물건값 ↑, 돈의 가치 ↓
  • 돈의 가치가 떨어졌을 때, 채무자 입장에서는 똑같은 100만원을 갚아도 돈의 가치가 떨어져 유리, 채권자 입장에서는 불리

 

구두창 비용
  •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발생한 비용
  • 시계 가격 향상 : 100 → 200 (100 + 100) → 돈이 더 필요해서 은행에 가서 돈을 가져와야하고 왔다갔다 하다보면 구두창이 닳고 없어진다고 하여 '구두창 비용'이라고 함

 

메뉴 비용
  • 메뉴판에 A라는 가격이 5,000원짜리인데 물가가 올라서 6,000원이 되면 메뉴판을 새로 바꿔야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진행되면 메뉴판을 새롭게 바꾸게 되기 때문에 '메뉴 비용'이라고 함
  • 혹은 물가가 올라 소비가 줄고 매출이 줄어든 것까지도 메뉴 비용

 

인플레이션 조세
  • 세금을 걷지 않고 통화 발행을 많이하게 되면 돈의 가치가 떨어짐(통화 ↑, 돈의 가치 ↓)
    → 세금을 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가진 돈의 가치가 떨어짐
    → 마치 세금을 낸 것과 같음

 

스태그 플레이션
  • 경기가 안 좋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오름
  • 원인 : 원자재 가격의 상승, 생산성 하락 등

 

  •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실질 GDP ↑, 물가 ↑ (비례)
  • 수요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실질 GDP ↓, 물가 ↓ (비례)
  • 하지만, 공급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원자재 가격 인상, 생산성 하락 등)하면 공급은 줄어들고, 물가는 올라(반비례)가게 되어 스태그 플레이션이 발생함

실업
  • 생산 가능 인구 (16 ~ 65세)
  • 16세 미만, 65세 초과 / 병원 장기 입원 / 수감(죄수) / 군인 → 생산 가능 인구가 아님
  • 경제활동 인구 : 취업자 / 실업자(취준생) → 구직활동을 계속하고 있지만 아직 취업이 안 된 사람
  • 비경제활동 인구 : 주부, 학생, 실망실업자(구직 포기)
  • 실업률(%) = 실업자수 / 경제활동인구(총 인구 X) * 100
  • 취업률(%) = 취업자수 / 경제활동인구 * 100
  •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 / 만 15세이상 인구 * 100

 

실업의 원인
  • 마찰적 실업 : 이직하기 위해 잠깐 나타나는 실업
    → 해결 방법 :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정부가 많이 줌, 실업 급여를 많이 낮추면 자발적인 실업이 줄어듦
  • 구조적 실업 : 산업의 구조가 변해서 발생하는 실업
    Ex) 다이어리 종사자 → 스마트폰으로 인해 다이어리 종사자의 일감이 줄어들어 실업 상태로 됨
    → 해결 방법 : 직업 교육
  • 경기적 실업 : 경기가 안 좋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실업
  • 계절적 실업 : 계절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실업(겨울 : 건설업, 대학생 졸업 시즌에 졸업자들이 쏟아져 나와 실업자가 대거 늘어남)

환율
  • 외국 화폐와 우리나라 돈과의 교환 비율 or 외화의 가격
  • 1$ = 1000원 → 1$ = 1,500원 => 환율 상승
  • 1$ = 1000원 → 1$ = 500원 => 환율 하락
  • 외한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환율, 즉 외화의 가격이 결정

 

  • 환율 상승 → 외화($) 가격 상승(평가 절상), 원화 가격 하락(평가 절하)
  • 환율 상승 시 발생하는 일들
  • 수출 증가 : 똑같은 1달러를 받더라도 1$(1,000원)이던 것이 1$(2,000)원이 되기 때문에 환율 상승 → 수출 증가으로 연결
  • 수입 감소 : 1,000원이면 사던 것을 2,000원을 줘야 사기 때문에 환율 상승 → 수입 감소로 연결
  • 물가 상승 : 1,000원이면 사던 밀가루를 2,000원을 줘야 사기 때문에 라면, 짜장면, 떡볶이 등의 물가가 모두 오르게 됨
  • 외화 부채의 부담 증가(빚이 늘어남)
  • 해외 채권, 해외 주식 이득
  • 환율 하락시 반대

규모의 경제
  • 규모가 커질 수록 평균 비용이 줄어듦(우하향 곡선)
    • 평균 비용 : 1개 생산할 때 들어가는 비용

 

범위의 경제
  • 수직적으로 통합한 것
    • 부품, 현대차, 판매회사 세 가지가 있을 때
    • 부품 + 현대차 통합 = 후방 통합
    • 현대차 + 판매회사 통합 = 전방 통합
  • 자기 회사 입장
    → 뒤에 있는 회사 = 후방 통합
      앞에 있는 회사 = 전방 통합
728x90